
Expanding ‘Daily Life’ into the Doughnut
Reflections on the Jeju Public Forum on Everyday Issues Youth Camp '나의 일상'을 '도넛'으로 확장하기: 제주생활공론 청년캠프 후기

지난 9월 18일부터 20일까지 제주에서는 제주한라대학교 청년 19명을 대상으로 ‘제주생활공론 청년캠프’가 열렸습니다.
제주소통협력센터의 제주생활공론은 숙의와 공론을 주요 키워드로 주민들이 일상에서 체감하는 지역 문제를 다각도로 논의하고, 메세지를 만들어 지역사회 내 공론화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입니다. 올해 제주생활공론은 제주한라대학교 RISE 사업단 및 씨닷과 협력하여 20대 청년들이 개개인의 일상 속 경험을 제주라는 공동체의 사회적 이슈로 확장하는 과정을 통해 숙의와 공론을 경험하고, 공론장 안에서 참여자들이 직접 캠페인성 메세지를 완성하고 배포하여 지역사회 내 공감과 공론화를 시도하고자 하였습니다.
우리는 이 여정의 시작부에 도넛 펼치기: 4렌즈 도구를 활용했습니다. 참가자들은 각자의 '일상'에서 출발하여 팀별로 묶은 네 개의 주제(제주 청년 관점에서의 문화 인프라, 청년의 삶, 환경, 교통 접근성)를 중심으로, 를 일부 활용하여 문제에 대한 심도 깊은 탐구와 연결을 시도하였습니다. 2박 3일간의 캠프를 통해 청년들은 일상에서 출발한 관심을 사회 문제와 연결하고, 이를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SNS 영상 메시지로 재구성했습니다.
From September 18th to 20th, the "Jeju Public Forum on Everyday Issues Youth Camp" was held in Jeju-island for 19 young people from Jeju Halla University. "
Jeju Public Forum on Everyday Issues” run by the Jeju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Center, engages residents in discussing local issues they experience in their daily lives and co-create messages for further public discourse within the local community, with “deliberation of the public discourses” as keywords. This year's Jeju Public Forum, in collaboration with Jeju Halla University's RISE Project Team and Cdot, aimed to foster deliberation and public discussion through a process where young people in their 20s translate their everyday experiences into social issues for the Jeju community, then create and share campaign messages to generate community consensus and public discourses within the community.
We used a part of the Doughnut Unrolled: 4 Lenses Tool for the beginning of this journey. Over the three-day, two-night camp, youth connected their everyday concerns to broader social problems and reframed these issues into relatable video messages for social media.
1. 워크숍의 핵심 목표: 주제를 '전환적 변화'의 질문으로
Core Goal: Shaping Themes into Questions for Transformative Change
워크숍의 목표는 청년들이 일상에서 포착한 주제들을 개인적 관점에서 벗어나 사회 전반과 연결하는 구조화된 관점으로 확장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를 위해 도넛 모델의 두 축을 중심으로 질문을 전개했습니다.
The workshop aimed to help youth shift from each personal perspective to a structured viewpoint connecting their themes to broader society. This was done by expanding questions along two axes of the Doughnut model:
- 사회적 기초(도넛 안쪽): 이 주제와 관련하여 사회적으로 무엇을 궁금해하고 상상할 수 있을까?
Social Foundation (Inside the Doughnut): What social aspects can we wonder and imagine regarding this theme? - 생태적 한계(도넛 바깥쪽): 이 주제와 관련하여 어떤 요소까지 생태적 고려를 할 수 있을까?
Ecological Ceiling (Outside the Doughnut): To what extent can we integrate ecological considerations into this theme?
제주가 섬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글로벌이라는 두 축도 함께 적용했습니다.
The workshop also applied local-global axes to broaden participants' perspectives beyond just local concerns of Jeju as an island.

2. 도넛 4렌즈를 활용한 심층 탐구 과정
In-Depth Exploration Process Using the 4 Lenses
워크숍은 4렌즈 도구 중 주제 탐색하기의 흐름에 따라, 크게 세 단계로 전지(큰 종이)를 활용한 시각적 협업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습니다. 각 과정에서 4~5명으로 구성된 팀마다 퍼실리테이터가 함께 참여하여 참가자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을 지원하였습니다.
Following the Doughnut Unrolled: Exploring a topic process, the workshop was conducted in three main stages using visual collaboration with large papersheets. Each facilitator was accompanied to each team of 4–5 participants to provide support and guidance.
(1) 전체적 탐구: '좋은 것', '나쁜 것', '애매한 것' 펼쳐놓기
Holistic Inquiry: Exploring the Strengths, Uncertain, and Challenges
참가자들은 주제와 관련한 모든 생각을 포스트잇에 써서 4렌즈의 각 영역에 배치했습니다. 분류의 용이성과 접근성을 위해 포스트잇은 신호등처럼 세 가지로 단순화했습니다:
Participants wrote down all their thoughts on the theme and arranged them across the four lenses using color-coded sticky notes. To facilitate categorization and accessibility, the team simplified this to three categories:
- 초록색(좋은 것): 제주가 잘하고 있는 점 → 도넛 안쪽 배치
Green (Strengths): What Jeju is doing well → placed inside the doughnut - 노란색(애매한 것): 좋은지 나쁜지 불명확하거나 더 알아봐야 할 질문 → 도넛 안쪽 배치
Yellow (Uncertain): Questions that are unclear or need further exploration → placed inside the doughnut - 빨간색(문제점): 제주가 개선이 필요한 점 → 도넛 바깥쪽 배치
Red (Challenges): Areas needing improvement → placed outside the doughnut
이 과정을 통해 참가자들은 주제를 둘러싼 다양한 관점을 펼쳐볼 수 있었습니다. 특히 글로벌한 차원에서의 내용을 떠올리는 것을 어려워하는 참가자들도 다수 있었습니다.
This process allowed participants to explore diverse perspectives on the topic. Many participants found it particularly difficult to think about the topic from a global perspective.

(2) 상호 연결성 파악: 의외의 연결 찾기
Identifying interconnections: Finding unexpected connections
참가자들은 포스트잇들 사이를 살펴보고 연결될 것 같은 내용 사이에 직접 선을 그어보며 상호연결성을 탐색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흥미로운 발견이 있었습니다. 참가자들은 지역에서는 도넛 안쪽에 있는 요소가 글로벌 차원에서는 도넛 바깥쪽의 과제와 상충될 수도 있고, 연결이 한쪽으로만 쏠릴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Participants explored interconnections between sticky notes by drawing lines between related ideas. This process revealed important insights: elements positioned inside the doughnut at the local level could conflict with challenges outside the doughnut at the global scale, and connections could be one-directional rather than balanced.

(3) 가능성 찾기: '만약'의 상상력 발휘
Identifying Possibilties: Imagination of “what if…?”
마지막 단계는 "만약(What if?)"이라는 질문으로 전환적 가능성을 상상하는 것이었습니다. 가능성을 상상하기 위해 진행자가 예시 질문을 던지고, 각 팀의 퍼실리테이터들이 참가자들이 다양한 생각을 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참가자들은 현실의 문제를 뒤집거나, 연결되지 않은 요소들을 연결하면 어떨지 생각해보는 식으로 창의적 상상력을 발휘했습니다.
The final step involved imagining transformative possibilities through the question "What if…?" To envision possibilities, the facilitator posed sample questions, and the facilitators from each team encouraged participants to think creatively. Participants exercised their creative imagination through reversing real-world problems or connecting disconnected elements.
팀별 논의를 마친 수, 참가자들은 함께 모여 팀별로 모아진 상상을 공유하였습니다.
After completing the team discussions, participants shared their collective imaginations, including:
- "만약 제주도가 한국의 수도가 된다면"
What if Jeju Island became the capital of Korea? - "만약 제주도가 파리, 런던처럼 글로벌 문화도시가 된다면"
What if Jeju Island became a global cultural city like Paris or London? - "문화력과 생태의 완벽한 조화가 이루어진다면"
What if a perfect harmony of culture and ecology were achieved? - "제주의 자가용 수를 획기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면"
What if the number of private vehicles in Jeju could be drastically limited?
- "해양 쓰레기를 데이터화할 수 있다면"
What if marine waste could be tracked through data?
- "기후 변화로 제주 바다에 늘어나는 생물들을 새롭게 활용할 수 있다면"
What if we could repurpose marine species that are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in new ways?
이러한 아이디어들은 참가자들이 원하는 정의롭고 안전한 도넛 영역 안에서의 제주의 모습을 보여주는 퍼즐 조각과도 같았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었습니다.
These ideas were valuable as puzzle pieces that show what participants imagine for the Jeju within the just and safe doughnut zone they want.

3. 이후 과정과 산출물: 사회적 메시지로의 전환
Subsequent Processes and Outputs: Translating into social messages
워크숍 이후 청년들은 지역의 변화 주체들을 인터뷰하고, 탐구 결과를 바탕으로 메시지를 정리한 후 SNS 숏폼 영상으로 제작했습니다. 생산된 영상들은 다음 주제들을 다루었습니다: (주제 키워드를 클릭하면 원본 영상으로 이동)
Following the workshop, participants interviewed local changemakers and refined messages based on their exploration, and produced short-form social media videos. The resulting content addressed: (Click the theme to go to the original video)
- 정신건강과 공동체: 숨겨진 청년 우울증 문제의 가시화
Mental Health and Community: Making hidden youth depression visible

- 문화 형평성: 관광 중심 문화인프라의 한계와 청년의 문화 박탈감
Cultural Equity: Highlighting gaps in tourism-focused cultural infrastructure and youth cultural deprivation

- 이동성과 포용성: 발달장애인 가족 인터뷰를 통한 교통 접근성 문제 제기
Mobility and Inclusion: Raising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issues through interviews with famili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해양 쓰레기: 관광객 참여를 포함한 폐기물 해결 방안 제시
Marine Waste: Proposing waste solutions that include tourist participation

도넛경제의 4렌즈 도구는 단순한 분석 틀을 넘어, 청년들의 생각을 더 큰 차원과 연결하여 구조적이고 전환적인 질문으로 변환시키는 도구로 작용했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만난 제주의 청년들 역시 이 경험을 통해 앞으로 지역사회와 사회 속에서 능동적으로 자신의 역할을 구성해갈 수 있는 동력을 얻었기를 바랍니다.
The 4 Lenses tool functioned as more than just an analytical framework—it transformed youth thinking into structural, transformative questions connected to broader dimensions. Through this experience, we hope that the young participants in Jeju also gained the momentum to actively shape their role in their local and broader society going forward.